본문 바로가기

film

연합뉴스기사. (네이버) - 한국영화의 구조조정!

(서울=연합뉴스) 김가희 기자 = 드디어 매서운 칼바람이 불기 시작됐다. 2년 연속 침체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한국영화계가 구조조정이라는 날카로운 칼을 들이대고 있다.

올 초 시네마서비스가 직원들에게 6월까지 '알아서 살 길을 찾으라'고 시한 통보를 한 데 이어, 국내 최대 영화 제작사이자 배급까지 나선 싸이더스FNH도 구조조정에 들어갔다. 아이엠픽처스 역시 구조조정설이 나돌고 있다.

이처럼 본격적인 구조조정은 예견된 일이기도 하다. 최근 한국영화 부진이 계속되면서 전성기 시절 유입된 과잉 인력에 대한 정비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한국영화계의 침체는 수치로 봐도 명확하다. 2006년에는 개봉작 108편 중 손익분기점을 넘어선 영화가 22편이었는데 지난해에는 더 심각해져 개봉작 112편 중 13편 만이 손익분기점을 넘겼다. 10편 중 9편이 손해를 본 것.

2007년 한국영화 1편당 평균 제작비는 42억 원(순제작비 37억 원)으로 전년도 50억 원보다 줄었지만 평균 매출이 24억 원에 불과해 편당 수익률은 -43%에 이르렀다.

작년 흥행작 톱10 중 '디 워' '화려한 휴가' '미녀는 괴로워' 등 고작 세 편만이 한국영화였고 나머지는 모두 외화였다.

시네마서비스의 경우 투자배급작 중 제작비 100억 원이 투입된 '황진이'를 비롯해 '아들' '싸움' 등이 극심한 적자를 냈고, '권순분 여사 납치사건' 역시 별 재미를 보지 못했다. 정재영 주연의 '신기전', 설경구 주연의 '강철중:공공의 적 1-1'이 하반기 개봉 예정이지만 지금까지의 적자를 버텨내지 못하는 상황이다.

이미 마케팅팀 핵심 직원들이 사표를 낸 싸이더스FNH 역시 마찬가지. '이장과 군수'가 제작비에 못 미치는 수익을 거둔 이후 '죽어도 해피엔딩' '어깨너머의 연인' '용의주도 미스신'에 이어 '라듸오데이즈'까지 참패에 가까운 결과를 낳았다. 설 겨냥 영화로 기대했던 '라듸오데이즈'는 '국경의 남쪽'만큼이나 좋지 않은 성적을 기록했다.

영화계에서는 통신업체인 KT의 투자배급작 '라듸오데이즈'와 SKT가 세운 CH엔터테인먼트 투자배급작 '원스 어폰 어 타임'의 첫 대결에서 '라듸오데이즈'가 완패해 자존심을 구겼다며 시급히 구조조정에 나섰다는 말도 돌고 있다.

아이엠픽처스 역시 '원스 어폰 어 타임'가 180만 관객을 넘어서긴 했지만 지난해 '므이' '우리 동네'의 부진 여파에서 헤어나올 정도의 성공은 아니어서 구조조정을 피할 수 없는 상황이다.

각사 관계자들은 "이젠 더 이상 버틸 수 없다. 구조조정이 당연한 것 아니냐"고 입을 모으고 있다. 이들 회사뿐 아니라 군소 영화 제작사들은 이미 직원 축소에 나섰다.

한 제작사 대표는 "영화계가 전성기 시절 통신자본 등 투자자들이 급증하며 맞은 거품을 빼야 할 시점"이라며 "다시 헝그리 정신으로 돌아가야 할 시점으로 구조조정을 하는 회사나 당하는 직원이나 모두 이에 공감하고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MK픽처스 심재명 대표는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이나 '추격자'의 성공에서 보듯 좋은 영화는 관객이 반드시 찾아온다는 사실을 깨닫고 영화 제작 자체를 위한 영화 제작이 아닌 공들여 좋은 작품을 내놓는다는 각오로 새로 시작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kahee@yna.co.kr

http://blog.yonhapnews.co.kr/kunnom/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구조조정'이라는 말이 어울리는 말인지 모르겠다. 보통 그것은 '감원'과 많이 연관되는 것 같은데, 그건 정규직한테나 쓰는 말이다. 그런데 실질적으로 정규직으로 영화일을 하고 있는 사람은 내가 아는 사람 중에는...... 거의 없다.

심재명 대표가 했다는 말. 너무나 당연히 맞는 말이다. 올 초에 저 두편의 영화는 나를 고무시키기에는 충분했다.  예전처럼 현장의 시선과 실제 시장이 다르지가 않다. 잘 만든 영화를 관객들이 알아보고 많이 봐준다는 것이 너무나 고무적이다. 한 마디로 관객들의 영화보는 수준이 높아졌다고 생각한다.

반대로 얘기하자면, 영화가 후지니까 관객들이 보러오지 않은거고, 이것이 산업의 위기를 불러왔다고 이야기할 수 있겠다. 맞는 말이다. 그런데 나는 이 시스템안의 개인에게 눈을 돌리지 않을 수 없다. 이 바닥이 단 한 번이라도 안정적이었던 적이 있었냐만은, 이제는 영화 좀 만들어보겠다고 기획해보는 사람들은 전부 자발적으로, 자생적으로, 다른 일 해가면서 준비해야 할 듯 하다. 뭐 그것이 '헝그리정신'이라면 그런거다. 진짜로 헝그리한거다. 원래 자본주의의 구조가 그런거겠지만, 역시 '조정'되어야 할 것은 힘없고 빽없는 인간들이다.

건방진 말일수도 있지만, 이런 말을 들은 적이 있다. 영화판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엘리트 노가다'란다. 나름 학벌이 좋네, 공부 좀 했네 하지만 현장에서는 말 그대로 노가다 현장에서 하는 일들을 많이 한다. 그리고 부정기적이며 불규칙하고 불안정하다. 그래도 꿈이 있어 버틴다고 한다. 이 꿈이 뭘까? 내 이름걸고 영화 만들어 보는 것? 어떤 자리에 올라서서 매체의 주목을 받는 것? 아님 순수하게 잘 만들어진 영화작품으로 사람들과 소통하는 것? 혹은 관객들과 소통하는 이 잘 만든 작품으로 어디 영화제 가서 상 받는 것? 과연 그것은 꿈인가, 아님 허영인가. 아님 정말 순수한 의지인가. 무엇이 되었던 이 바닥에서 일을 해온 사람들은 다 나름대로 'free'하다는 미명하에 불안하게 살아왔다. 뭐 유사이래 모든 예술합네 하는 인간들이 그렇게 살아왔다고 말한다면 할 말은 없다.

이 '구조조정'을 영화판의 한 개인으로서 어떻게 보아야 할까. 디지털 혁명과, 달라진 세계와 세계화에 대해 이야기하는 책들, 기업의 효율성을 따지는 언론들이 써대는 글을 읽을 때마다 그들이 내세우는 논리에 많은 부분 수긍한다. 효율성이 없다면 쳐내는 거다. 위의 기사를 굳이 인용하지 않더라도, 영화 시장 전체는 언제나 많은 사람들이 손해를 본 비효율적인 시스템이었고, 시장이었으며, 산업이었다. 그리고 내놓아지는 상품의 차이가 천차만별이었다. 훌륭한 상품을 만들기가 참 어렵다. 물론 이것은 만드는 사람의 잘못이다. 이것이 산업이라면 개인은 가망없어 보이는 이 산업을 떠나는 것이 맞는가? 아니면 이일이 문화적으로 가치를 지니는 것이라면, 창작이라는 것이 늘 그랬던 것처럼, 와신상담. 하며 꿈을 꾸고 계속 노력하며 덤벼보는 것이 맞는가? 그런데 그러기에는 개인의 고통이 너무 크다. 혹은 개인의 옆에 있는 사람까지 그 고통 속으로 끌어들인다.

이 산업은 작은 산업이 아니다. 적어도 일반적인 영화 한 편에 몇 십억이 움직인다. 구경이나 하겠는가? 평생 살면서 그 돈을? 그런데 그 한 편의 시작이 너무 불확실하고 주관적이다. 그리고 그것을 객관적으로 심사하는 시스템이라는 것조차 주관적이다. 그런데 혹시 어떤 만듦과 도전이 있었다면 그 결과는 너무나 객관적이다! (관객수말이다. 물론 그것이 영화를 평가하는 전부는 아니겠지만.) 사업 자체가 도박성이 짙다. 나는 고스톱도 칠 줄 모르는데 말이지. 결국 이 어려운 시기를 개인으로서 헤쳐나가려면... 몇 세기에 걸쳐 많은 사람들이 그랬던 것처럼... 낮에는 일하고 밤에는 시나리오 쓰며 기회를 엿보기? 혹은 이 산업속에서 정치적으로 줄 잘 타보기? 혹은... 스스로 구조조정 대상자가 되어서 (나를 자를 사람이 법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ㅡ.ㅡ) 다른 일에 뛰어들기...?

어쩔까나. 끈기도 미덕이고, 정치력도 미덕이며, 과감한 결단도 미덕이다. 결국 개인의 의지라는 건데, 세상이 개인이 만족하며 살아가게 내버려둘만큼 만만했던가? 'Keep up with the Joneses'하기 위해 어떤 선택을 하는 것은 허영이 아닌가? 혹은 어떤 사회적 허영을 위해 자신의 개인적 책임을 져버리는 것은 정당한 일인가? 아님, 모두 다 힘든데 이런 생각을 하는 것조차 사치인걸까?